투자시장에 있어 정말 중요한 위원회입니다.
기초가 튼튼해야 투자도 안전하게 할 수 있습니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는 미국 땅에 돌아다니는 돈의 양을 조절하는 곳입니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의 작업방식(?)은 간단합니다. 금융시장에서 채권을 사고 팔아서 시중에 돌아다니는 돈의 양을 조절합니다.
예를 들어 지금 현재 연방기금금리가 5%인데 미국의 경제상황을 고려해 봤을 때 가장 적절한 연방기금금리가 1%라고 합시다.
이때 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금융시장에서 열심히 채권을 사들입니다. 이렇게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채권을 사들이면 그만큼의 돈이 시중에 풀려 나가고, 그 결과 돈을 구하기가 쉬워져 연방기금금리가 5%에서 1%로 하락을 하게 됩니다.
물론 그렇다고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친히 나서서 시중에 돌아다니는 돈의 양을 조절하는 것은 아닙니다. 단지 결정만 하죠. 그러면 행동대장인 뉴욕 연방준비은행이 나서서 어르신들이 시키는 대로 채권을 사고 팔아서 시중에 돌아다는 돈의 양을 조절합니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의 의사결정
연방공개시장위원회의 투표권은 총 12장입니다. 12장 중 가장 많은 투표권을 가진 것은 연방준비제도이사회입니다. 7명의 이사가 각각 1장씩, 총 7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7장을 뺀, 나머지 5장은 미국 각지에 흩어져 있는 12개의 연방준비은행총재가 돌아가면서 투표권을 행사합니다.
하지만 뉴욕 연방준비은행총재는 매번 회의에서 투표권을 행사합니다. 세계금융의 중심지가 뉴욕이고, 실제로 공개시장정책을 시행하는 곳이 뉴욕 연방준비은행인 만큼 특권을 주는 것이죠.
투표권 12장 =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이사 7명 +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 1명 + 11명의 연방준비은행 총재 중 4명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일정
연방공개시장원회는 1년 동안 약 8번, 약 6주 간격으로 회의를 합니다. 그리고 회의를 통해 연방기금금리가 몇%가 되는게 적절한지, 또 시중에 돈을 얼마나 풀 것인지 결정을 합니다.
그런데 회의 주기가 1년에 8회로 딱 고정되어 있는 것은 아닙니다. 경제 상황에 따라 8번이 아니라 9번, 10번으로 늘어 날 수도 있습니다.
관련글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공부) 신용융자와 신용대주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7.14 |
---|---|
기본 선물거래와 비트코인의 선물거래 이해 (1) | 2022.07.14 |
CPI(소비자물가지수)는 무엇일까? (0) | 2022.07.07 |